• 소셜 로그인
    • 소셜로그인 네이버,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로그인연동 서비스로 본 사이트에 정보입력없이로그인하는 서비스 입니다. 소셜로그인 자세히 보기
문인의방
Calgary booked.net
-29°C
총 게시물 164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목록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0 <50년전 그해 5월>

글쓴이 : 반장님 날짜 : 2022-06-21 (화) 09:42 조회 : 12513
글주소 : http://www.cakonet.com/b/writer-214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100 <50년전 그해 5월>

이걸 어쩌나. 꽃이 피는가 했더니 녹음이 우거졌다. 녹음이 사라지고 매미 울음소리 멈추니. 단풍잎 굴러 낙엽잎 아스라지고 흰 눈꽃이 우주를 덮었도다. 발걸음 멈추고 지나온 길 더듬는다. 아무도 모르게 떠나버린 새, 수 많은 새의 종류가 있지만 훨훨 창공을 날고 있는 새를 부럽게 생각함은 인류가 원하는 보편적 가치다, 그런데 날지 못하는 사람은 그 새라는 것을 상상만 해 왔는데 그 놈의 새는 수퍼 소닉으로 날아가더라. 생각할 수록 이 새라는 세월이 무섭게 다가오고 있슴을 잊을 수 없고 날아가는 새를 누가 막을 수 있을까. 인류역사에서 예수, 석가, 성황당 산신령 그 누가 만들었는지 그 새 속에 갇혀서 한생을 바둥 바둥하다가 떠나 간다. 그 수 많은 새의 이름은 있건만 세월이란 새의 이름은 없슴을 어이햐랴.

어떤 선남 선녀가 연애라는 것 일년 반을 하다가 서로가 결혼이란 것을 퇴계로 아리스토리아 호텔에서 외딩 마치를 올린지가 50년전 그해 오월은 지나 갔다. 신랑이라는 사람은 숱한 악조건 속에서 그 놈의 행복이란 것이 무엇인지 모르면서 핏줄을 생산하고 그 시절 한국이란 나라에서 좋은 직장 팽개치고 공부 좀 더 한다고 신부를 설득 나아가 답답한 좁은 땅덩이 보다 큰 땅덩이에서 심 호흡을 하면서 살자는 명분이 지금은 낭인 시인이 되어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이럭 저럭 50년이 지난 그해 5월을 그리워 하면서..................

<니체>가 말했던가? 순간은 영원하다고 그 말을 항상 가슴 속에 간직한 채 행상 장사에서 고물장사로 무역업으로 부동산 업으로 모든 능력을 발휘하여 살아 오면서 순간이란 집념 하나 그 순간의 짜릿한 시간들을 잊지 않으며 처 자식 배 불리 먹이고 불편함이 없게 하고자 밤 낮을 모른체 성실과 근검절약, 집착력과 신용 하나로 열심히 살아 왔다. 오늘은 로키산 계곡 특수 호텔 방 14개로 운영되는 조용한 곳에서 신부가 마련한 방에서 하루를 넘긴다. 어느새 이 신랑 신부가 흰 머리털과 대머리 총각으로 변해 젔는지를 생각하니 가슴 속에는 하염 없는 눈물이 쏟아진다.

지난주 나의 시 <낭인 시인>이란 시를 발표했더니 조국에서 유명 시인, 소설가,평론가 등이 오래오래 남을 명시라 격려의 찬사를 보내왔다. 이 시 하나가 인류에게 남길 명시라고 하여 혼자 낄낄 깔깔 웃으며 오늘은 나의 인생길 산책 100호를 쓰면서 같은 카페에 글을 발표하는 정말로 명 시인인 윤 명수 시인의 <어느새>라는 시의 주제를 음미해 보았다.

정말 어느새 나의 인생길 산책도 100번째 글을 쓰기에 100 호의 글이 영원히 남을 수 있는 주제를 숙고 하여 50년전 이 부족한 사람을 남편으로 맞이하여 고생한 나의 신부, 힘들게 키웠던 나의 3 자녀가 성숙한 성인이 되었슴의 감사함, 캐나다에서 제일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토론토의 한인 뉴스 신문사 이 용우 사장 등등에 감사를 하며 이 글을 쓰고 있다

끝으로 순간이 있기에 뒤안길도 있다. 나의 글을 읽은 100만여명 이상의 알지 못하는 세계 동포들의 격려와 지도에 진심으로

머리 숙여 감사를 드리며 그 세월을 잡지 못하고 인류는 간다 간다. 구멍에서 왔기에 구멍으로 가야하는 숙명을 즐겁게 맞이 하자는 말로 100번째 인생길 산책을 마친다. 민초

이 유식 2022년 5월 30일

이전글  다음글  목록

총 게시물 164건, 최근 0 건 안내
제목 날짜 조회
추천: 손해일 시인의 낭독 "다물"
04-04 8001
<마음의 창窓 1> 詩 언젠가 열리려나 하늘 보다 더 높은 삶의 빛 심해의 깊은 곳 수초의 흔들림 넓고 깊고 높은 그 이상理想의 파도여 무한의…
04-01 9915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8<샤를 보들레르의 영광과 고통의 생애> 1821년에 출생 1867년 세상을 떠난 프랑스의 시인 <보들레르>, 그의 …
03-24 8625
보이느냐 들리느냐 사랑이 저절로 익어 갈수 있나 사랑 안에 죽음 몇 억만개 사랑 안에 배신 몇 억만개 사랑 안에 분노와 희생의 꽃다발 사랑을 …
03-18 6861
제15회 민초해외동포 문학상 작품공모 목적 해외 750만 해외동포들에게 민족의 정체성 고양과 고유문화의 승계 발전에 일조코자 캐나다 캘거리시에 …
03-16 9297
해바라기가 무럭무럭 자라나는 끝없는 평원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독일 프랑크 푸르트로 가는 기차를 타고 캐나다로 가는 긴 여정의 길이었다. 기억…
03-12 11706
바베이도 섬 20여년 전의 추억이다 카리브해의 동쪽 행복지수가 높은 민족 100불의 월수입에 만족을 찾으며 많고 적음에 구애를 받지 않는 사람들…
03-09 6291
캘거리 운계 박충선의 신작시 " 발자국이 거룩한 산지를 택한 사람들"
03-05 9219
운계 박충선 시인의 신작시 "나의 별 보이지 않아도"
03-05 6042
캘거리 운계 박충선의 신작시 " 그래서 눈은 내리나 보다"
03-05 6699
Estonia 에스토니아 발틱해 연안에 붙은 조그마한 나라 독일과 구 소련의 교차된 식민지 나라 지정학적 요인이 나의 조국과 같은 나라 구 소련이 …
03-02 6852
노년연금 민초 이 유식 시인 2005년 65년간 쌓여온 설움알알이 부서지는 허무의 샘물흘러 흘러온 고행의 터널돌고 또 돌아외로우면 하늘을 보고 눈…
02-20 7377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5< 정 소성 교수를 추모하며> 존경하는 친구 정 소성 교수를 먼길 떠나보낸 이 마음 어떻게 정리를 해야할까 …
02-17 8382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4<생존 그리고 사랑과 문학 4> 여기에서 사랑과 문학은 생존이 있기에 문학의 갈 길을 찾는다. 신앙인은 자기…
01-23 8088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3 <생존 그리고 사랑과 문학3> 나의 사랑시 한편을 소개 한다. 이 작품은 2010년 12월 16일자 대구신문에 좋은 시로 선…
01-13 8358
캘거리 시인 운계 박충선의 "물 위를 걸어 선창으로"
01-12 9936
캘거리 시인 운계 박충선의 바람에게 물어본다
01-12 8265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2 <생존 그리고 사랑과 문학 2> 서양의 그리스도교의 문화권은 동양보다는 조금 늦은 기원 후부터 사랑을 둘…
01-06 10389
민초 이 유식 시인의 인생길 산책 91 <생존,그리고 사랑과 문학 1> 필자주 : 2021년 영원히 못올 이 한해를 상상하며 우연한 기회에 Google .com 에 들…
12-31 9177
흑표범의 노래<신년시 1> <임인년,꿈 속의 길> 안개 자욱히 숨쉬는 바닷길 태풍에 옷 자락의 바람을 털어내고 흑표범이 포효하는 …
12-28 8139
목록
처음  1  2  3  4  5  6  7  8  9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