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5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사회/문화]

국내 고용 구조, 10년 내 비정규직 및 임시직 위주 보편화 전망

글쓴이 : Reporter 날짜 : 2017-04-22 (토) 19:39 조회 : 35775
글주소 : http://www.cakonet.com/b/B04-1455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산업현장에서 첨단기술이 인력 대체, 밀레니엄 세대가 제일 큰 피해

고용주들, 인건비 절감 위해 임시직 선호 

연방 재무부 장관, "비정규직 및 임시직 증가, 대세로 받아 들여야"

국내 고용 구조가 앞날을 보장받지 못하는 비정규직과 임시직 위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일명 ‘불안한 일자리’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같은 현상이 향후 10년 내 보편적인 추세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19일 취업알선 전문사인 ‘랜드스태드 캐나다(Randstad Canada)’가 내놓은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임시직과 계약직, 자영업 등에 연연하는 비율이 전체 일자리의 20~3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고서는 “하루 8시간 근무하는 전통적인 일자리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며, “고용구조가 오는 2025년쯤엔 지금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랜드스태드의 관계자는 “산업현장에서 갈수록 첨단기술이 인력을 대체하고 있어 근로 형태가 급변하고 있다”며, “특히 밀레니엄 세대가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노동계측은 “고용주들이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파트타임 또는 임시 직원들을 선호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가장 큰 덕을 보고 있는 분야는 임시직 알선 회사들이다”고 주장했다.

‘불안한 일자리’는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지난해 빌 모노 연방 재무부 장관은 “이를 대세로 받아 들여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91ad92501510a868d34f9d7e6fe8f3ab_1492787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총 게시물 5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사회/문화
캐나다의 노동법이 크게 개정될 예정으로 알려진 가운데 고용부장관은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고 또한 파트타임 근로자들과 임시직 근로자들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 것이 새로운 연방 노동법의 핵심적인 내용…
09-11
사회/문화
산업현장에서 첨단기술이 인력 대체, 밀레니엄 세대가 제일 큰 피해 고용주들, 인건비 절감 위해 임시직 선호  연방 재무부 장관, "비정규직 및 임시직 증가, 대세로 받아 들여야" 국내 고용 구조가 앞날을 …
04-22
경제
- 모기지 대출 및 신용카드, 가계 건전성 해쳐  - 계약직 및 임시직, 불안정한 고용상태가 문제라는 의견도  돈 걱정 때문에 일이 손에 잡히지 않기는 캐나다인들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여론 조사기관 …
12-15
이민/교육
캘거리의 '마운트 로얄(Mount Royal)' 대학은 총 교수 중 52%가 계약직이며, 그들 전체 수업시간 중59%를 담당하고 있다. 마운트 로얄 대학 강사 협회와 대학 총장 모두는, 교수들과 강사 및 학생들을 위해 대학측이…
11-05
사회/문화
비정규직, '정부, 병원, 미디어 등' 전 분야로 확산  캐나다 고용시장에서 주로 대졸자들이 차지해온 일명’화이트 칼러’일자리로 알려진 안정적인 직장이 점차 사라지고, 비정규직인 대체 근로자들이 늘고 …
04-01
목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